728x90
SMALL

전체 글 358

유럽 귀족 계급 5등작 (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유럽 봉건사회에 사용된 일반적인 제후의 칭호이자 그 등급을 구분한 것인데 일본 메이지 유신때 유럽의 작위제도를 다섯 계급 구분이 대충 맞아 떨어져서 적당히 끼워 맞춰사용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정확하게 구분짓지는 않습니다만 굳이 적당히 끼워나누어 보자면 공작은 주로 왕족과 독립된 세력에 주어진 칭호고 후작은 주로 국경의 영지를 하사받은 일명 변경백 영주들의 칭호고 백작은 지방 군사령관이나 귀족출신에게 주어진 칭호고 자작은 백작의 대리인 혹은 부백작(부관)에게 주어진 칭호고 남작은 소규모 작은 영지의 영주에게 주어진 칭호였습니다 (중세시대땐 귀족 등급뿐만아니라 직책이기도 했었고 땅 보유 여부에따라 달라지기도 함) 공작 公爵 (공작 Duke)은 라틴어 dux에서 나온 말이다. 로마 시대에는 지방 군대의 지휘관..

나만의 인문학 2023.02.19

국제평화지원단(제5공수 특전여단)

온누리 부대 과거 제5공수특전여단과 특수임무단 시절에는 부대 별칭이 '흑룡부대'였으나, 국평단으로 개편되면서 별칭도 '온누리 부대'로 바뀌었다. '온'은 전체 또는 전부를 뜻하며 '누리'는 세상이라는 의미이다. 즉, '온누리'라는 부대 이름은 전 세계를 누비며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를 상징한다. 제 5공수 특전여단 1969년 2월 17일에 동해안경비사령부의 예하부대로 창설된 제2유격여단이 이후 특수전사령부 예하로 들어오면서 1972년 9월 20일자로 제5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이 5공수특전여단은 다른 특전여단들과는 달리 북한에 담당 침투지역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고, 이미 침투한 다른 특전여단 팀들의 작전 추이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지역에 후속으로 추가 침투되는 특전사의 예비대같은 역할이었다. 즉, ..

나만의 인문학 2023.02.18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