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권법은
북권(장권(長拳))
남권(南拳)으로 나눌 수 있다.

ㅡ북권
북권은 현대에 장권이라고 하면 우슈의 북파 장권을 말하는 것인데, 주로 사권, 포추, 화권, 홍권에서 크게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표연 시에 사용하는 동작은 규정권(規定拳)이라고 부르는 국가가 규정한 제식 형을 이용하여 연무한다.
몸을 크게 쭉 뻗는 동작에서 위력을 얻기 때문에 팔다리를 길게 뻗고 원을 그리는 자세가 많으며, 최고의 방어는 공격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공격적이다.
권각이 모두 고르게 들어있으나 약동감 있는 도약과 화려한 각법이 특징적이다.
우슈 제정 이전에는 북파 권법을 장권(長拳)이라고 통칭하는 경우도 있었고, 그 기원을 거슬러가면 10세기 경 송 태조 조광윤이 병사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만든 태조장권(太祖長拳)이 현재까지 전해지는 장권 계통의 시초라고 한다.
장권은 또 북파와 남파로 나뉘는데
-북파장권은 소림에 흘러들어가 심의파 등의 기법과 합쳐져 홍권, 나한권 등이 되고, 이것이 소림사 밖으로 퍼져 각각 당랑권, 미종권, 태극권 팔극권, 팔괘장, 형의권 나뉘며,
-남파장권은 그대로 영춘권, 삼전권, 백학권 등으로 나뉘는만큼 중국 무술 가운데 태조장권의 영향을 받지 않은 문파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된다.

ㅡ남권
남권은 북권에 비해 아크로바틱하거나 화려한 움직임이 적다.
주먹 위주의 강맹한 공격이 특징이며, 보법이 투박하다. 공격할 때 기합을 지르는 특징이 있고, 수련시에는 목인장이나 평장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 북권에 비해 근접전에 강한 편이고, 손기술이 무척 다양하다.
남권이 손을 쓰고, 강맹한 동작이 발달한 이유에는 강과 호수, 숲과 늪지 등등이 많은 중국남부의 자연환경과 중요한 교통수단이었던 선상에서 난투가 벌어지는 상황과 관련이 깊다고 한다.
좁은 선상에서 싸움을 전제로 한 까닭에 적에게 접근해 기동력을 봉쇄하고 강력한 손기술로 끝장내는 전법을 주로 삼는다
무기도 봉과 창 등의 무기가 특히 발달한 북권에 비해, 남권은 짧은 칼과 단봉을 사용하는 기술이 발달했다.
명말청초에 청나라 조정에 의해 명나라의 부흥을 기도하는 많은 한족 무장단체들이 탄압을 받아 남쪽으로 대거 몰려들면서 크게 발전하였다.
반청단체로 유명한 천지회도 남권이 주류를 이루었다.
더욱이 광동성은 청조 때부터 서양인들이 중국과 활발히 교역하는 지역이 되다보니, 남권에 속한 무술들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권법이 되었다.
광동성 5대 명가의 권법(홍가권, 유가권, 채가권, 이가권, 막가권), 채리불권, 영춘권, 백학권등이 남권에 속한다.
남권의 여러 권법들이 가라테와 유사성을 보이나 그 중에서도 백학권이 가라테와 가장 유사하다. 남권이 오키나와로 전해져 오키나와 테가 되었고 이것이 1900년대 초반 일본 본토로 전해지면서 이름이 가라테(당수)가 되었는데, 이후 이름에서 중국색을 빼기 위해서 '당'을 '공'으로 바꿔서 가라테(공수)가 되었다.

대표적 권법(무술)들
ㅡ우슈
운동경기의 한 종목으로도 사랑받고 있는 우슈는 남권, 태극권, 장권 세 가지 세부종목이 있습니다.
이들을 통틀어 3권이라고 칭합니다.
중국 무술의 대표적인 표현 무술이라고 하며 쿵후에는 없는 표현이라는 행동이 들어갑니다. 동작이 깔끔하고 멋있고 화려합니다.
ㅡ 내가권
내가권은 팔괘장, 형의권, 태극권으로 나뉘는데 이를 내가 삼권이라고 칭합니다.
이 무술의 특징은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이긴다는 것입니다.
공격이 교묘하고 상대의 공격을 교묘히 피해서 상대의 머리를 잡아당겨 넘어트리거나 상대방의 공격을 흘려 순간적으로 목이나 가슴을 치는 형태입니다.
ㅡ 팔극권
지각이라고 하는 발구름으로 순간적인 폭발력을 이용하는 중국 무술의 한 종류입니다.
팔극권의 특징으로는 언제나 모든 자세가 하체를 단단히 고정하고 낮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팔극권의 모든 힘은 하체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팔극권은 오랜 시간을 거쳐 수련하는 중국의 전통 무술입니다.
필격일살을 중시하는 무술입니다.
ㅡ 태극권
영춘권(및 여타의 중국권법)과 비교할 수 있다.
영춘권은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식을 익히고 사용하는 것에 중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에 태극권은 본질적인 움직임과 감각인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여러 자세에서 양 고관절의 움직임과 무게이동, 견관절의 원형의 움직임, 견관절-고관절-척추-몸통의 연동을 인지하는 것, 생각을 비우고 몸의 감각에 몰입하고 긴장을 이완하는 법을 익힐 수 있다.
다시 말해 태극권의 형식은 태극권의 일부분으로 이를 통해 익힐 수 있는 건 최적의 움직임을 일으킬 수 있는 몸일 뿐 실전 없이는 아무것도 익힐 수 없다. 이것의 말뜻은 태극권은 실전 또한 포함했을 때 태극권이라 부를 수 있다.
이 권법은 태극론에 기반을 둔 독특한 이론 체계를 가지고 있다. 화경(化勁)을 중시하며, 무수한 중국권법 가운데 팔괘장, 형의권과 함께 내가삼권(內家三拳)으로 구분한다.
세계적으로 수련인구도 많고 유명한 높은 권법이다.
ㅡ 영춘권
영춘권은 워낙 유명한데 영화 엽문으로 많이들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이소룡의 절권도 역시 영춘권을 모티브로 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영춘권은 엄영춘이라는 여성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공격과 방어 원리가 매우 독특하며 항상 근접해서 싸우는 방식을 택하며 상대의 중심선을 따라 그대로 직 충 추를 내뻗는 모습과 그것을 연달아하는 영춘권은 마치 머신건을 연상케 합니다.
ㅡ 당랑권
사마귀를 본떠 만들었다는 말이 많은데 잘못된 유래입니다. 사마귀의 성질과 특색을 따라 만든 겁니다.
당랑권의 특징이라면 급소를 공격하고 추퇴등의 독특한 발차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눈을 공격하거나 명치 등을 공격하는 등 사마귀의 성격처럼 순간적으로 사납고 빠르게 공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ㅡ채리불권
중국 청조 말인 1836년에 진향(陳享)이라는 사람이 창시했다.
홍가권과 채리불권으로 대표되는 광동남파는 남파에서 발달한 무예이지만 기법은 홍가권과 유사하고 보폭이 넓고 무거우며 강하게 주먹을 지르는
장교대마(長橋大馬)의 형식을 띠고 있으며, 짧은 보폭과 빠른 단타를 장기로 삼는 단교협마(短橋狹馬)인 영춘권과는 대조적인 기법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남파 무술과 다르게 넓은 보폭으로 크게 내지르는 것은 땅위에서 싸우는 북파무술의 특징이다.
북파 무술의 기법을 차용하여 북파의 성격도 포함하고 있다.
ㅡ홍가권
줄여서 홍권(洪拳)이라고도 한다.
중국 남쪽 지방에서 발달한 중국 무술의 문파.
이른바 남파소림권(南派少林拳)을 대표하는 문파 가운데 하나다.
황비홍의 무술로 유명하고 낮은 자세로 힘있는 움직임을 특징으로 한다.
남소림사의 지선선사가 전해준 소림권을 청대 차상인이었던 홍희관이 배워 스스로 창안한 것이 홍가권이라는 전설이 있다. 하지만 하남성 숭산의 북소림과는 달리, 복건 소림사라는 것 자체가 역사적으로 존재가 입증된 적이 없다.
훗날 내려져온 전승에는 지선선사의 제자였던 홍희관과 사제 방세옥의 딸이 합심하여 만든 무술이라고도 전해지기도 한다.
황비홍 같은 중국 역사 상의 영웅이나 반청복명의 비밀결사에서 익힌 권법이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혁명투사의 권법으로 좋은 이미지로 생각하고 있다.
전란을 피해 해외로 이주한 무술가, 또는 화교의 호위 중에도 홍가권을 익힌 자가 많기 때문에 세계 각지의 차이나타운에 홍가권을 가르치는 무관이 많이 생겨 중국 밖으로도 널리 알려져있다.

'중국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특수부대 (0) | 2023.03.09 |
---|---|
대만(타이완) 특수부대 (0) | 2023.03.09 |
중국 4대 고성(古城) (0) | 2023.01.21 |
중국 지폐속의 명승지들 (1) | 2023.01.20 |
중국 불교 4대 명산 (1)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