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나만의 인문학 54

소주(지역별 소주)

소주의 종류 소주는 증류식 소주와 희석식 소주로 나눠집니다. 증류식 소주 증류는 고대 바빌로니아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8~9세기가 되면서 중동 지역에서 알콜을 얻기 위한 방편으로 증류기술을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기술이 십자군원정을 통해 유럽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이후, 몽골족이 유라시아 대륙을 지배하면서 동방 세계로 전파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희석식 소주 주정(酒精)에다 물과 감미료를 넣어서 만듭니다. 현재 우리가 마시는 소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정(酒精)이라는 것은 당밀 등 타피오카 등으로 만든 술입니다. 이 술을 증류기로 증류하여 주정을 만듭니다. 이 주정을 희석한 것이 지금의 희석식 소주입니다. 우리나라 지역별 소주 서울: 참이슬 참이슬은 ..

나만의 인문학 2022.12.08

우리나라 산의 유래들

가리왕산의 유래 강원도 정선군과 평창군에 걸쳐 위치한 가리왕산은 고산의 준봉답게 그 스케일이 장대하다. 첩첩산중이란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일 정도로 이 일대는 산들이 밀집해 있다. 가리왕산에는 갈왕의 전설이 서린 지명이 많다. 망경대는 갈왕이 이 대에 올라 잃어버린 옛 땅을 바라보며 환국의 날을 기다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시녀암은 갈왕의 시녀들이 이 바위에 올라 서서 고국쪽을 바라보며 부모형제를 그리워했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밖에도 갈왕이 난을 피해 숨었던 서심 등이 있다. 가리왕산이란 이름 역시 갈왕과의 인연으로 해서 붙여진 것이다. 역사적 진위여부에 관계없이 갈왕의 전설은 가리왕산을 더욱 그윽하게 하고 있다. 가야산의 유래 가야산의 이름에 대한 유래는 정확치 않다. 해인사가 들어서며 불교..

나만의 인문학 2022.12.02

백두대간(정맥)

북한의 백두산에서 남한의 지리산까지 한반도의 남북으로 이어지는 긴 산줄기 북한에서 백두산(2,750m)을 기점으로 포태산(2,289m), 두류산(2,309m) 등 해발고도 2,000m 내외의 고봉으로 이어지며, 북쪽의 두 강인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양분하는 경계선을 이루게 된다. 산줄기는 다시 남쪽으로 차일봉(1,742m), 철옹산(1,085m), 추가령(752m)으로 이어지며 높이는 점차로 낮아진다. 또한 동해안을 끼고 태백산맥을 따라 금강산(1,638m), 설악산(1,708m), 오대산(1,563m), 대관령(832m), 두타산(1,353m)을 거쳐 태백산(1,567m)에 닿는다. 여기서 방향을 남서쪽으로 돌려 소백산맥을 따라 소백산(1,440m), 죽령(689m), 속리산(1,059m)으로 뻗어내..

나만의 인문학 2022.11.29

국내 100대 명산

100대 명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기념하고 산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해 2002년 10월 산림청에서 선정 공표하였습니다. 산림청에서 선정한 "100대 명산"은 학계, 산악계, 언론계 등 13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추천받은 105개 산과 산악회 및 산악 전문지가 추천하는 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산을 대상을 산의 역사, 문화성, 접근성, 선호도, 규모, 생태계 특성 등 5개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심사 후 선정하였습니다. 100대 명산에는 국립공원(31)·도립공원(15)·군립공원(10) 지역에서 56개가 선정되었습니다. 지역별 100대 명산 서울/경기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나만의 인문학 2022.11.28

한국의 악(岳, 嶽)산

3대 악산은 설악산, 월악산, 치악산 설악산 대청봉 1708m 치악산 비로봉 1288m 월악산 영봉 1097m 5대 악산은 3대 악산에 운악산, 삼악산을 더하기도 한다 "악산"이란 산 이름에서 악자로 쓰이는 한자어는 岳과 嶽 의 두자를 주로 쓴다. 악(岳, 嶽) 자는 "큰산 악"자로 산이 크다는 의미이다. 악(岳)자가 들어있는 산 이름으로는 월악산[月岳山], 치악산[雉岳山], 삼악산[三岳山], 운악산[雲岳山], 관악산[冠岳山], 모악산[母岳山], 화악산[華岳山], 백악산[百岳山] 등이 있으며, 악(嶽)자는 설악산[雪嶽山]과 황악산[黃嶽山]의 한자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악산치고 험하지 않은 산이 없다"고 할 때 악산은 "악산(惡山) [명사] 산세가 험한 산"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듯하다...

나만의 인문학 2022.11.26

한반도 지역명칭및 유래

한반도 지역명칭및 유래 영남(嶺南) 경북 문경새재(조령)이남을 말합니다 호남(湖南) 현재 금강(미호천)이남을 호남이라 합니다 호서(湖西) 현재의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일대를 가리키는 지역 금강 서쪽이라고 영동(嶺東) 대관령 동쪽해안지역을 말합니다 영서(嶺西) 대관령 서쪽 원주지역일대를 말합니다 관동(觀東) 원산 함흥일대를 관동지역이라 합니다 관서(觀西) 평양 일대를 관서지방이라 합니다 관북(關北) 함경북대일대를말합니다 경기(京機) 도읍지에서 500리이내지역을 경기지역이라 합니다 관동 관서는 북한지역 낭림산맥 묘향산맥 을 기점으로 동서를 구분한것을 관동 관서지방이라 합니다 함경도함흥 일대를 관동지방 이라 합니다 유래 과거 한반도전체를 고개와 강을 기준하여 행정구역과 지방명을 구분하였습니다 대표적인..

나만의 인문학 2022.11.21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