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인문학

북한 특수부대

5889 2023. 3. 8. 12:00
728x90
반응형
SMALL


보위부(보위사령부)
(=우리나라 국정원)

:북한의 정보기관 겸 방첩기관 겸 비밀경찰기관.
일명 '보위성', '보위부'로도 불리며, 약 90,000명 ~ 100,000명 직원 규모의 국무위원회 직속 기관이다.



인민무력부
   (=우리나라 국방부)


:북한의 행정조직 가운데 군사행정의 최고기관을 말한다. 원래 명칭은 민족보위성으로 1972년 12월 27일 개정되었다. 정찰국은 인민무력부 산하 내부기구로서 대남공작기구의 하나이다.

보통 12만명, 최대 20만명으로 추산되며 미국의 특수작전 분류체계 Tier 1급 부대에 해당하는 1개 특수작전대대, 그 외 8개 항공육전여단, 2개 해상저격여단, 4개 정찰병여단, 9개 경보병여단, 군단 배속 35개의 경보병대대, 특수기동 및 지원임무를 가진 5개 혼성여단, 4개 저격여단, 여단급 핵배낭 부대 등이 있다.

북한군의 특수부대는 항공육전대-저격여단-경보병-정찰병으로 병종이 다양하다. 최근 북한군의 국지전을 통한 제한전 성격의 준비에서 이들의 병력은 더욱 증대되었다. 11군단은 굳이 한국의 부대에 비유하자면 육군 특공연대와 비슷한 성격을 띄고 있으나 규모가 훨씬 크다.
특수부대 중 10여개 여단, 4만~8만명은 11군단 소속이다. 경보병여단은 '번개', 항공육전단은 '우뢰',
저격여단은 '벼락'으로 불린다고 한다.

북한의 특수부대 중 가장 화력과 기동성이 강한 부대는 30,000여명의 항공육전여단과 9,000명의 해상저격여단이라 할 수 있다.


•11군단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으로 승격)

•525특전대
- 총참모부 제525부대 직속

• 특수작전대대

•정찰총국 정찰대

•육군 항공육전대

- 항공육전대와 공군저격여단을 합쳐서 항공육전여단이라 불리는 편이다.

•해군 해상저격여단



정찰총국
(=국군정보사령부)


:공식명칭은 조선인민군 정찰총국 최고사령관의 지휘를 받는 기관이다.
대한민국 및 해외의 공작활동을 총괄하는 군 소속 첩보기관으로 공작원의 양성, 침투, 정보수집, 파괴공작, 요인암살, 납치, 테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과 함께 북한의 특수전과 첩보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이며,
북한 인민무력부에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구로, 각종 대남·해외 공작업무를 총괄하여 지휘한다.
2009년 2월, 조선노동당 소속의 작전부(침투공작원 호송·안내 담당)와 35호실(해외·대남 정보수집 담당) 그리고 인민무력부 산하의 정찰국이 통폐합되어 정찰총국이 신설되었다.

정찰총국은 해외정보국·작전국·정찰국 등 3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고,
6개의 부서로 구성되어있다


• 제1부
- 전 당 정보국의 일부분으로 공작원을 훈련시키고 잠입을 위한 기술적 지원, 주로 잠수함 또는 반잠수함형 함선 등을 제공한다.

•제2부
- 전 군사 정보국으로 적국,
특히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군사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맡는다.

•제3부
- 통신 정보 즉, 컴퓨터 해킹과 관련한 정보를 담당한다.

•제5부
- 위에 언급한 35국으로, 당 정보국 내에서 수립되었다.
해외 정치 정보, 특히 한국의 정보를 담당한다.

•제6부
- 군사 접촉과 군사 정책을 담당한다 (제2부와의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다).

•제7부
- 병참 및 공급 문제를 다룬다.

728x90
반응형
LIST

'나만의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마카오)특수부대  (0) 2023.03.09
우리나라(한국) 특수부대  (0) 2023.03.08
영국 특수부대 (코만도)  (0) 2023.03.07
프랑스 특수부대  (1) 2023.03.07
독일 특수부대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