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군
ㅡ 정보사령부
-과거 각 군 산하 정보 첩보부대가 해체와 통폐합을 거듭하며 현재의 정보사령부가 되었다.
• 육상(HID)
- 대한민국 국군의 첩보부대인 국군정보사령부 산하에서 특수전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의 육상 편제로 통상적으로는 과거의 설악개발단 상위 사령부 명칭인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라고 불린다.
1950년 7월경 육군본부 정보국 내에 공작과가 생겨서 주로 첩보수집 임무를 담당하게 되는데, 한국전쟁에 따른 첩보업무의 활성화 필요성에 따라 육군본부 정보국 공작과를 1951년 3월에 별도 조직으로 독립시켜서 확대 개편시킨 육군 첩보부대(HID)를 만들게 된다. 일명 돼지부대라고 불리는 부대가 바로 여기다.
김신조 일당 침투 이후 육군 HID가 AIU (Army Intelligence Unit)로 개편되어 ‘설악개발단’(현재 정보사 특수임무부대 육상)이라는 위장명칭을 사용하는 등 편제가 정규화됐다.
설악개발단은 1968년 창설되었다.
• 해상(UDU)
-대한민국 국군의 첩보부대인 국군정보사령부 산하에서 특수전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의 해상 편제로 민간에서는 과거의 소속 사령부 명칭인 UDU(Underwater Demolition Unit)라고 불린다.
UDU는 UDT의 대원들 중 해군첩보부대(NIU)내의 북파공작 실행부서인 해상정찰대로 발령난 대원들이 NIU와 차별을 두기위해 스스로 칭하던 이름이었다.
후에 해군첩보부대가 개편되면서 NIU라는 명칭을 폐기하고 NIU, UDU 가릴 것 없이 모두 UDU라고 통칭하게 되었고 UDT에서 공작원을 끌어오던 방식에서 자체양성으로 전환하였다.
해군 첩보부대는 1946년도에 출발했고 UDU부대 창설일을 1955년 7월 1일로 명시하고 있다.

육군
ㅡ 특수전사령부
대한민국 육군 소속의 특수작전부대.
명칭은 특전사로 더 많이 불린다. 특수전사령부를 줄인 말이다.
6.25 전쟁 당시에 대활약하였던 특수 공작 부대인 켈로부대를 모체로 하여 세워진 부대이며, 유사시 육·해·공의 다양한 루트로 적진에 깊숙히 침투하여 게릴라전/민사심리전. 수색·특수정찰, 요인암살 및 납치/직접타격, 인질구출, 주요시설 폭파, 사보타주, 항폭유도, 병참선 교란, 외국내부방어 등 각종 국군의 특수작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전시가 아닌 평시에 대한민국 내부로 무장공비들이 침투했을 때 벌어지는 대간첩작전에서 주도적으로 적을 잡거나 소탕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 제1 · 3 · 7 · 9 ·11 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한반도 유사시 평양에 진입해 북한 수뇌부의 참수작전을 담당
• 국제평화지원단
-(제5공수특전여단)
필요시 해외로 파병되어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또는 다국적군 평화활동(PKF) 임무를 수행
• 제707특수임무단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특수부대로, 1981년 특전사 대원 중 정예요원만을 뽑아 창설되었습니다.
당시 서울이 1988년 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됨에 따라 정부의 '국가 대테러활동지침'에 따라
대테러부대로 설립된 것입니다. 평시에는 테러 진압을 주임무로 하며, 전시에는 고공 및 해상 침투를 통해 적후방을 교란하고 아군의 수월한 공격을 위해 적의 기선을 제압하는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ㅡ 육군
• 제1산악 여단
• 제2신속대응사단
(제201 · 203신속대응여단)
• 제700 · 701 · 702 · 703 · 705특공연대
• 제35 특수임무대대
-수도방위사령부 직할부대의 특수임무대대.
• 군사경찰 특수임무대(SDT)
- 군 내부 강력범죄, 대테러 초동 조치, 요인 경호, 도심지 기동타격, 무장 탈영병 체포 등을 수행하는 군사경찰부대로, 보통 ‘특임대’로 지칭합니다.
우리나라 육·해·공군, 해병대 모두 군사경찰 특수임무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부대명은 다르지만 보통 '헌병특임대(SDT)' 혹은 '특별경호대(SGT)'라고 불리며 헌병병과에서 운용합니다.
이들은 일반 사병과는 다르게 전투복 외에 대테러복인 흑복을 입고 검정 방탄헬멧을 착용하는데, 군별로 약간씩 차이는 있습니다. 현재 가장 역사가 오래된 특임대 부대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헌병특임대입니다.

해군
• 특수전전대(UDT/SEAL)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은 1955년 11월 창설된 해군의 특수전 부대입니다.
UDT/SEAL은 해군 특수전전단
(구 해군 특수전여단을 모체로 2012년 창설)이 정식 명칭이고, 1955년 창설된 수중폭파대 UDT(Underwater Demolition Team)가 그 모체입니다.
초기에는 수중파괴 임무(UDT)만 수행했지만 현재는 육해공 전천후 특수타격(SEAL), 해상대테러(CT) 임무까지 맡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첫 원정 대테러 임무를 맡은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청해부대)의 2011 아덴만 여명 작전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습니다.
• 해난구조전대(SSU)
-해군 SSU는 전군 최고 수준의 수중 작전 능력을 보유한 부대로, 1950년 9월 1일 해상공작대로 창설되었다가 1954년 8월 1일 해난구조대로 개칭하였습니다. '평시'에는 인명구조 및 선체인양 등의 해난구조작전,
항공구조작전, 항공기·선박의 해양사고 규명 및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전시'에는 주요 항만 개항유지 지원 및 상륙작전 시 전투구조 임무를 수행합니다.
• 해병대 특수수색대대
-해병대사령부 직할 특수부대로 해병수색대의 임무는 물론 대테러특수임무대 임무를 수행합니다.
상륙부대 본대가 상륙하기 며칠 전에 적 해안지역에 침투, 정보수집과 정찰, 지휘체계 파괴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상륙부대의 눈과 귀 역할을 하면서 적진 40여㎞까지 잠입해 아군 헬기 착륙 및 함정 상륙을 유도하고 교두보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2018년 5월 1일 당시 해병대사령관이었던 전진구 중장(해사 39기)의 주도로 추진돼 사령부 직할부대로 창설되었습니다.
• 군사경찰 특수임무반(SDT)

공군
• 공군 공정 통제사(CCT)
-대한민국 공군의 공정통제사는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한 美 공군 CCT를 통해 필요성을 느낀 우리 공군에 의해 1978년 4월 제5전술공수비행단 예하 반급 규모로 창설되었다.
전쟁이 났을 때 공수부대원이나 물자를 공수하는 공정작전에 앞서 적진 깊숙이 들어가 항공기가 제대로 병력과 장비를 투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임무를 맡습니다.
1968년 4월에 만들어진 공군 특수부대인 684부대가 해체되고, 10년이 지난 1978년 4월에 만들어져 784부대라고도 한다.
2020년 7월 1일 제259전술공수지원대대가 제259특수임무대대로 전환 창설되면서, 예하 부대였던 공정통제중대도 특수임무대로 확대개편되었다.
•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특수탐색구조대대(SART)
-한반도 전역의 탐색구조 임무를 맡고 있는 특수탐색구조대 성격의 대한민국 공군 소속 특수임무부대이다. 전투부대와는 구분되게 '생명을 구하는' 굉장히 신성한 임무를 부여받아, '언제 어디든 우리는 간다!'라는 부대 구호 아래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긴급상황 시 전천후 탐색구조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핵심 임무는 비행 중 추락한 우리 공군의 전투기 조종사와 고립된 국군 특작요원을 반드시 구조하는 것이며, 그 외에도 각종 재난·재해, 사건·사고가 발생할 시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출동하여 인명구조, 대민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항공구조사라 불리며 약칭은 SART 또는 6전대.
그 외 머룬베레(Maroon Beret)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데, 베레모의 색이 적갈색이기 때문이다.
또다른 공군 특수작전부대인 공정통제사의 경우는 스칼렛색의 베레모를 쓴다. 이는 모두 미 공군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 군사경찰 특수임무반(SDT)

경찰청
• 경찰특공대(SOU)
경찰특공대 (Special Operation Unit) 대한민국 경찰청 예하 경찰특수부대이자,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시행령 제18조에 의거 국가 대테러 체계의 가장 최전선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군경의 국가지정 대테러특공대이다.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가 확정되면서 북한 특수부대에 의한 테러리즘과 국제 테러리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경찰청에 의해 1983년 창설되었습니다. 이후 2002년 월드컵에 대비하여 지방 경찰청에도 대테러리스트 특공대를 창설하여 운영중에 있습니다. 대테러와 폭발물 처리 등을 주임무로 합니다.
• 해양경찰특공대(SSAT)
- 해양경찰특공대 SSAT(Sea Special Attack Team) 해양경찰특공대의 정의는 "대테러 전술, EOD 훈련을 받고 지방 해양경찰청에 배치되어 해상테러 예방, 진압활동 및 선박 수색, 특수범죄 진압등의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이다

'나만의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특수부대 (0) | 2023.03.09 |
---|---|
홍콩 (마카오)특수부대 (0) | 2023.03.09 |
북한 특수부대 (0) | 2023.03.08 |
영국 특수부대 (코만도) (0) | 2023.03.07 |
프랑스 특수부대 (1)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