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뺑소니를 당했을 때 대응방법
1. 뺑소니 범의 차종과 번호를 기억하기
교통 사고가 발생하면 일반작으로 피해자와 가해자가 그 자리에서 협상을 하게 되고, 경찰을 불러 후속 조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나 가해자가 도주해 버린 뺑소니의 경우, 그러한 대응은 불가능해 집니다.
가해자의 얼굴도 이름도 모른다면, 경찰도 어떻게 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뺑소니를 당하게 된다면, 그 자리에서 도주하고 있는 범인의 차종과 번호를 제대로 기억합시다.
바디 컬러와 가해자의 성별 등 세세한 특징도 기억해둔다면 가해자를 특정할 수 있는 확률이 크게 상승합니다.
그 자리에서 순간적으로 기억하는 것이 무리라면,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번호를 촬용하거나 자동차 블랙박스를 통해 사고의 순간을 녹화해 둘 수 있다면 확실하게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경찰에 신고하기
경찰에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가해자의 번호와 차종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경찰에 그것을 확실히 전해두면 가해자를 특정하고 검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고 확인서도 반드시 발급 받도록 합시다.
사고 확인서가 없으면 차량의 수리비를 보험처리 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가해자의 정보를 전혀 모르고 있는 경우에도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가해자를 특정할 수 있는 단서가 전혀 없기 때문에 경찰의 수사도 큰 진전이 없을 수 있습니다.
3. 뺑소니가 있었다라는 상황을 기억하기
뺑소니가 있었다라는 상황을 제대로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차가 주행중이었는지 정차 중이었는지, 어디서 어떻게 접촉했는지 등 경찰이나 보험사측에 정확히 전달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의 기억력에 의존하는 것이 무리라면, 역시 휴대폰이나 자동차 블랙 박스 등의 도구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조금이라도 부상을 당했다면 병원을 가자
뺑소니를 당해서 타박상 등의 부상을 입었을 때, 그것이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병원에 가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병원에 가서 진단서를 받고, 그것을 경찰에 제출함으로써, 대물 사고에서 대인사고로 취급이 바뀌게 되어 수사의 성격이 바뀔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경찰들도 조금 더 진지하게 수사를 진행하게 되고, 가해자를 특정하게 될 확률도 상승하게 됩니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과일 주스별 효능 (0) | 2023.03.01 |
---|---|
금값 시세(2.24일 기준) (0) | 2023.02.24 |
뺑소니 사고 신고 포상금 제도란? (0) | 2023.02.24 |
교통사고 즉결심판 (0) | 2023.02.24 |
국방백서 2022('북한은 적'표기변화)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