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시(西施)
중국의 4대 미녀 중 빼어난 외모를 자랑하는 서시.
서시는 춘추전국시대 말, 월(越)나라의 미녀이다.
살았던 마을이 동서로 나뉘어 있었는데 그녀는 서쪽에 살았기 때문에 이름을 서시(西施) 라 했다.
하루는 그녀가 강변에 있는데 맑고 투명한 물이 그녀의 얼굴을 비추자
수중에 있던 물고기가 그 미모에 놀라 헤엄치는 것을 잊고 물밑으로
가라앉았다고 한다.
그녀의 미모에 비단 물고기만 놀란 것이 아니다.
당시 오(吳)나라의 왕 부차와 월(越)나라의 왕 구천이 싸우던 중 구천이 패하게 되어 항복하고 부차의 신하가 될 것을 약속한다.
하지만 구천은 치욕을 씻기 위해서
범려와 대부(大夫) 문종 등이 미인계를 권하여 전국적으로 미인을 선발하게 되어 서시를 발견해 궁으로 데려왔고, 춤과 노래 등을 가르친 후 오왕 부차에게 보냈다.
부차는 서시의 미색에 사로잡힌 나머지 나랏일을 게을리하기 시작했다.
충신 오자서의 충고를 무시하고 결국 그를 자결하게 하는 등 오만한 정치를 일삼다가 결국 월왕 구천에게 망하고 말았다.
오나라가 패망한 뒤 서시는 부차에 대한 죄책감으로 강에 빠져 자살했다고도 하며 자신을 요부로 훈련시킨 범려와 함께 제나라로 가 그곳에서 장사를 통해 큰 재물을 모았다고도 전해진다.

왕소군(王昭君)
한(漢)나라의 왕소군은 재주와 용모를 두루 갖춘 팔방미인이다.
당시 한나라의 원제는 궁녀들의 초상화를 화공에게 그리게 하여 초상화를 보고 아름다운 궁녀를 골라 총애하였다.
궁녀들은 자신들을 예쁘게 그려달라고 화공에게 앞다투어 뇌물을 바쳤다.
그러나 가난했던 왕소군은 뇌물을 주지 못해 본인의 외모와는 상반되는 못생긴
초상화가 그려질 수 밖에 없었다.
당시 화친을 위해 북쪽 흉노왕에게 궁녀를 보내려던 원제는 초상화 가운데
가장 못생긴 왕소군을 뽑아서 보내도록 하였다.
원제는 이별의 인사를 하는 자리에서야 비로소 왕소군의 모습을 보게 되고
그 미모에 반하지만 어쩔 수 없이 흉노왕에게 보내고 만다.
원제는 크게 노하여 소군을 추하게 그린 화공 모연수를 참형(斬刑)에 처하였다.
또한, 그녀가 흉노로 떠나가는 도중 날아가는 기러기를 보고 고향 생각에 비파를 탔는데, 이를 들은 기러기들이 그녀의 아름다운 미모에 반해 떨어지고, 이에 낙안(落雁)이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왕소군은 흉노로 가서 호한야 선우의 처로서 살았다고 한다.
결국 그녀는 흉노왕의 아내가 되어 싸움이 빈번하던 두 나라를 50년 이상
원만한 관계로 유지시킨다.

초선(貂蟬)
초선은 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
삼국지연의에 따르면, 초선은 왕윤 부중(府中)의 가기(家妓·궁중 또는 관청이 아닌 개인 사가의 기녀)였는데, 그녀의 모습이 마치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와 같았다고 한다.
동탁이 포악하여 한나라 황실이 위태로워지자 왕윤(王允)이 초선에게 연환계(連環計)를 사용하여 동탁과 여포 사이를 이간질했다.
초선은 왕윤의 부탁을 받고 은혜에 보답하고자 그의 계략을 실행에 옮긴다.
미인계를 써서 동탁과 여포를 이간질 시켜 서로 질투하게 하고 배신하게 하여 결국 여포로 하여금 섬겨야 할 주인인 동탁을 칼로 베어 죽이게 한다.
여포가 동탁을 죽인 뒤 초선을 첩으로 삼았지만, 조조가 여포를 사로잡아 죽이고 초선을 허도(許都)로 보냈다고 한다.
야사(野史)에는 조조가 관우에게 준 후 관우는 홍안화수(紅顔禍水, 예쁜 여자는 화를 초래한다)란 이유로 초선을 죽였다는 설도 있다.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어느 날 초선은 뒤뜰 화원에서 달을 쳐다보니 달이 그 미모에 움츠려져 구름 뒤로 숨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후세 사람들은 ‘폐월(閉月)’이란 표현으로 그녀의 미모를 형언했다.

양귀비(楊貴妃)
자질풍염(資質豊艷)이라 적었으며, 말하자면 절세미인으로 유명한 양귀비는 당 현종의 후궁이자 며느리이며, 본명은 양옥환(楊玉環)이다.
본래 현종과 무혜비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인 수왕의 비로 17세 때 궁에 들어왔으나 시와 노래에 뛰어난 보기 드문 절세미인으로 현종의 눈에 들게 되어 간택되었다.
육촌 오빠 양국충은 도박을 좋아하는 포악한 인물인데도 양귀비 덕에
고관이 되어 조정에서 실권을 장악했고 이후, 현종은 더욱 주색(酒色)에 빠졌고, 조정의 정치는 양씨 일당에 의해 부패했다.
한편 돌궐족 출신인 젊은 장군 안녹산은 양귀비가 무척 예뻐하던 양자였는데, 양귀비의 득세를 등에 업고 엄청난 권세를 누리게 된다.
안녹산은 황제를 바로 보좌하고 양국충 일당을 소멸시킨다는 명분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수도가 점령당하자 현종과 황실은 피신해야만 했고, 도망가던 중
현종의 친위병들은 황실의 몰락이 양씨 일가 때문이라고 여겨 양귀비와 양국충을 처형하라고 현종에게 제기한다.
목숨과 사랑 중 목숨을 택한 현종은 결국 양귀비를 처형하는데 동의하고
양국충을 주살하고 부하를 시켜 양귀비를 목졸라 죽이게 하였다.
이때 양귀비 나이 서른여덟살 이었다.

'중국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도교 4대 명산 (1) | 2023.01.15 |
---|---|
중국 3대 악녀 (1) | 2023.01.15 |
중국의 술 종류 (0) | 2022.12.20 |
중국의 10대 명주 (1) | 2022.12.09 |
중국의 술 문화와 8대 명주 (0)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