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널티 킥(penalty kick)
수비 선수가 패널티 지역 안에서 직접 프리킥에 해당하는 반칙을 범했을 때
골기퍼와 일대일 상황에서 차는 킥 또는 승부차기를 할 때 골키퍼 11미터 앞에 지정된 곳에서 공을 차는 것이다.


페널티 에어리어(penalty area)
수비수가 반칙했을 경우 공격팀에게 페널티킥이 부여되는 지역
(세로 16.5m, 가로 40.32m크기)
각각의 골포스트(goal post) 안쪽에서 코너 쪽으로 16.5m 되는 곳에 골라인(goal line)과 직각이 되도록 경기장 안쪽으로 16.5m 길이의 선을 긋고, 그 끝을 골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직선으로 연결한 곳이다.
그리고 두 개의 골포스트 중앙에서 페널티 에어리어 안쪽으로 11m 되는 지점에 페널티 마크를 표시한다. 그리고 페널티마크에서 페널티 에어리어 밖으로 그린 반지름 9.15m의 원호를 페널티아크(penalty arc)라고 한다.

프리 킥
경기자의 반칙에 대한 벌칙의 하나. 반칙을 한 지점에서 상대방 경기자가 차는 프리 킥을 주는 것으로 처벌된다. 프리 킥에는 ‘직접 프리 킥’과 ‘간접 프리 킥’이 있다.
직접프리킥(Direct Free Kick)
축구 경기에서 페널티 에어리어 밖에서 반칙을 한 경우 상대방에게 주어지는 프리킥의 한 종류로, 보통 반칙이 발생한 장소에서 이뤄지며 상대팀 선수는 반경 9.15m(10야드) 밖에 위치해야 한다.
ㅡ 직접프리킥이 주어지는 경우
상대를 차거나 차려고 했을 때
상대를 걸었거나 걸어 넘어뜨리려고 했을 때
상대에게 뛰어 덤벼들었을 때
상대를 차지(charges)했을 때
상대를 때리거나 때리려고 했을 때
상대를 밀었을 때
(또 선수가 다음의 4개 반칙 중 어느 것을 범했을 때 상대팀에게 직접 프리킥을 부여한다)
볼을 소유하고자 상대에게 태클을 하였으나 볼에 터치하기 전에 상대의 신체에 먼저 접촉되는 경우
상대를 잡았을 때
상대에게 침을 뱉었을 때
고의적으로 볼에 손을 댔을 때(자신의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 있는 골키퍼는 제외)
👀
직접 프리킥의 경우는 키커가 상대 골대를 향해 바로 슛을 날릴 수 있지만 간접 프리킥의 경우는 불가능하다.
또 직접 프리킥은 간접 프리킥과는 달리 키커가 바로 슈팅 하거나 주변 팀 동료에게 패스해도 된다.
간접프리킥(Indirect Free Kick)
미드필드 지역에서 자기편이 상대방에게 또는 상대편이 자기편에게 반칙을 범했을 경우, 또는 자기편이 상대편의 진영에서 오프사이드 또는 반칙을 범했을 경우 심판이 지정해 주는 위치에서 차는 킥을 말한다.
ㅡ 간접프리킥이 주어지는 경우
골키퍼가 공을 들고6초 이상 경과했을 때
골키퍼가 볼을 놓고 다른 선수가 볼을 터치하기 전에 다시 볼을 손으로 만졌을 때
볼이 팀 동료에 의해 골키퍼에게 의도적으로 킥이 된 후 골키퍼가 손으로 볼을 터치했을 때
골키퍼가 팀 동료에 의해 실시된 스로인에서 볼을 직접 받은 후 손으로 볼을 터치했을 때
선수가 손에서 볼을 방출하는 골기퍼를 방해했을 때
선수가 상대선수의 진로를 방해했을 때
선수가 위험스러운 플레이를 했을 때 등이 있습니다.
👀
간접프리킥은 키커가 찬 공이 심판을 제외한 누군가를 거쳐서 골로 들어가야 골로 인정된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대 중과실 교통사고 (0) | 2022.12.15 |
---|---|
기본 매듭법 (0) | 2022.11.30 |
축구 상식과 용어 (0) | 2022.11.25 |
카타르 월드컵26인 태극전사 (0) | 2022.11.20 |
우리나라 도립공원 (0) | 202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