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인문학

위스키 생산지에 따른 분류 ( 5대 위스키 )

5889 2022. 12. 22. 00:00
728x90
반응형
SMALL


생산되는 곳에 따라서 크게 스카치 위스키, 아이리시 위스키, 아메리칸 위스키, 캐나디안 위스키로 분류되며, 이상을 전통적으로 4대 위스키 생산지로 친다. 여기에 재패니스 위스키를 추가하여 5대 위스키 생산지로 뽑기도 하며, 최근 그 외 국가에서도 새로이 뛰어들고 있다.




산지상에 따른 분류



스카치 위스키
Scotch whisky

일상 생활에서 위스키는 대부분 스카치 위스키를 뜻하며, 이름 그대로 스코틀랜드에서만 생산된다.
법적으로 3년 이상 숙성해야 하며, 첨가물로는 물과 색소만 허용된다.


- 싱글몰트 위스키:

하나의 증류소에서 단식증류기를 통해 만든 몰트 위스키
→ 글렌피딕, 마켈란, 글렌리벳 등

- 싱글그레인 위스키:
하나의 증류소에서 연속식증류기를 통해 만든 그레인 위스키

- 블렌디드몰트 위스키:
싱글몰트 위스키만을 섞어 만듦

- 블렌디드그레인 위스키:
싱글그레인 위스키만을 섞어 만듦

- 블렌디드 위스키:
싱글몰트 위스키와 싱글그레인 위스키를 섞어 만듦
→ 발렌타인, 시바스리갈, 조니워커 등



아이리시 위스키
Irish whiskey.

아일랜드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
본래 이쪽이 원조다. 한창 때는 몇 백 개의 증류소를 갖추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스카치 위스키가 2번 증류하는 데 비해, 아이리시 위스키는 3번 증류.
전통적으로 피트를 쓰지 않는 3회의 Pot still(단식 증류기) 증류를 통해 만들어지는 가볍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적이다.

→ 제임슨(Jameson)
(라벨에 TRIPLE DISTILLED라고 표시되어 있다.)



아메리칸 위스키
American Whiskey

미국에서 제조. 속을 불에 태운 새 오크통만을 숙성에 사용 . 매쉬빌에서 옥수수 함량이 51% 이상 증류 도수는 80% 이하. 통입 도수는 62.5% 이하 . 병입 도수는 40% 이상. 물 외에 어떤 첨가물도 사용 불가. 이상 7가지 조건을 지켜 제조되는 위스키이다.


- 버번 위스키:
대부분 켄터키 주에서 생산, 옥수수를 51% 이상 사용해야 함.
→ 짐빔, 메이커스 마크, 와일드터키 등

- 테네시 위스키:
테네시 주에서 생산, 단풍나무 숯에 여과
→ Jack Daniel

- 라이 위스키: 호밀(Rye)을 51% 이상 사용해야 함.

- 콘 위스키: 옥수수를 80% 이상 사용해야 함.



캐나디안 위스키
Canadian Whisky

미국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나 미국의 금주법 시대에 시장이 크게 성장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국과 유사한 성향을 갖는다. 호밀(라이) 위스키의 비중이 높은 편.
정부의 감독 하에 캐나다에서만 생산, 라이 위스키와 콘 위스키를 블렌딩.

→ 크라운 로얄, 캐나디안 클럽



재패니스 위스키
Japanese Whisky

스코틀랜드계 위스키로 일본에서 발아시킨 곡물을 물을 원료로 당화 효모로 발효한 뒤 95도 미만으로 증류할 것. 700리터 미만의 나무통에서 3년 이상 숙성할 것.병입시 알코올 도수 40도 이상, 캐러멜 색소 첨가 가능.

→ 산토리 Suntory와 닛카 Nikka라는 위스키 제조의 양대산맥


728x90
반응형
LIST